불마켓과 베어마켓, 그리고 베어마켓랠리와 조정장의 구분

불마켓(Bull Market)과 베어마켓(Bear Market)의 유래

황소를 뜻하는 불마켓은 주식시장의 상승장을 의미하고, 반대로 베어마켓은 하락장을 의미합니다. 황소와 곰이 어떻게 주식시장을 상징하기 시작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흔히 뿔을 세우고 달려드는 황소와 모습과 앞 발로 상대를 내리치는 곰의 모습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설이 많습니다.

다른 얘기로는 18세기 보스턴의 가죽거래 시장에서 곰 가죽을 미리 선물거래(Future Contracts)로 매도한 상인들이 나중에 곰 가죽 가격이 하락할 때 큰 이익을 얻는 것에서 베어마켓이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Charging Bull
Wall Street Charging Bull


불마켓과 베어마켓의 정의

불마켓은 S&P500과 같은 주요 주식시장 지수가 최근 저점에서 20%이상 상승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불마켓은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GDP성장과 낮은 실업률, 적정한 금리 등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유리한 시장입니다. 

반대로 베어마켓은 시장지수가 최근 고점에서 20%이상 하락한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업률이 증가하고 경제가 침체될 때 주식시장은 하락하지만, 베어마켓이 항상 경기침체기에만 발생하거나 늘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시장의 베어마켓이 실제 경기침체와 일치한 경우는 70%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베어마켓랠리(Bear Market Rally)와 조정장

베어마켓 기간 중에도 시장은 등락을 거듭합니다. 모든 베어마켓 기간 중에도 5% 이상의 시장랠리는 최소 한번 이상 있었고, 10% 이상의 랠리가 있었던 적도 2/3 이상이었습니다. 이처럼 베어마켓 기간 중에 일어나는 일시적인 주가 상승을 베어마켓랠리라고 합니다.

베어마켓랠리
베어마켓과 베어마켓랠리

펀더멘털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일시적인 베어마켓랠리는 추가적인 매물부담과 하락으로 이어져 저점을 더 낮추는 패턴을 만듭니다. 그래서 약세장 가운데 반등 국면에서는 베어마켓랠리인지 불마켓으로의 전환인지를 두고 항상 논쟁이 있기 마련입니다. 

반대로 불마켓에서도 일시적인 주가하락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전 고점에서 주가가 10%이상 하락한 경우 조정장이라고 합니다. 조정장은 추가적인 지수 하락 여부에 따라 베어마켓으로 전환될 수도 있고 불마켓의 일부로 그칠 수도 있습니다. 1974년 이후 22번의 시장 조정 중 베어마켓으로 전환된 것은 4번뿐이었습니다. 


불마켓과 베어마켓의 기간

경기 침체 구간이 상대적으로 더 짧은 것처럼 베어마켓 역시 불마켓보다는 짧은 경향이 있습니다. 1929년 이후 S&P500을 기준으로 베어마켓은 약 9.7개월, 불마켓은 2.7년으로 분석합니다. 기간의 차이만큼 베어마켓 기간 동안의 평균 손실률도 -35%로, 불마켓의 평균 이익 114%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 베어마켓 : 평균 기간 9.7개월 / 평균 수익률 -35%
  • 불마켓 : 평균 기간 2.7년 / 평균 수익률 +114%

미국 주식시장의 전체 기간으로 보면 약 78%의 기간이 불마켓에 있었습니다. 가장 긴 강세장은 2009년부터 코로나가 있기 전 2020년까지로 이 기간 400% 이상의 지수상승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가장 긴 약세장은 대공항이 있었던 1937년 3월부터 1942년 4월까지로 61개월간 지속되었습니다. 평균적으로 약세장은 5.4년마다 한 번씩 발생했는데 2000년 이후 약세장은 더 짧아진 경향이 있습니다. 

※ 데이터 출처 : Ned Davis Research, 1929~2022년까지 시장분석 자료결과.

(더 읽기) 주식투자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상식

※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되지만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투자결과 등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이 될 수 없습니다. 모든 자료의 저작권은 LoginMarket에 있으며, 허락 없이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다음 이전